품질 걱정 없이 안심하고 탈 수 있습니다
현대인증중고차는 5년 /10만 KM 이내의 선별된 차량만을 직접 매입하여 판매하며,
국내 업계 최다 품질 점검 항목인 270여개의 항목에 대한 품질 점검을 통과한 차량만 판매합니다.
현대인증중고차 검증항목
제네시스인증중고차 검증항목
전체적인 도장 마감 및 외관, 범퍼, 램프 등 차량 외관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엔진, 미션, 변속기 등 주요 부품의 상태를 확인하고 각 부품들의 누유, 누수 여부를 확인합니다.
차량 하부의 주요 부품들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차량의 사고 발생 여부 및 침수 여부를 확인합니다.
계기판 및 차량 시트, 편의 장치 등 차량 실내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차량의 전자 장치 및 시스템, 센서 등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차량 주행 중 이상 여부 및 주행 보조 장치들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 정밀점검 후 차량별 정밀점검 리포트를 발행하여 차량 상태를 투명하게 공개합니다.
※ 디지털 PDI 란? 현대인증중고차에서 매입한 차량 진단 및 품질 인증에 사용하는 전용 장비입니다.
제조사라서 가능한 현대자동차의 정비 인프라 활용
현대인증중고차 전용 상품화센터에서 인증 부품만을 사용한 전문 상품화 과정을 거칩니다.
양산 상품화센터
용인 상품화센터
군산 상품화센터
현대인증중고차는 내가 원하는대로 내 상황에 맞춰서 분할 결제로 구매 가능합니다.
실시간 금리 비교로 비용 부담 다운
1원 부터 차량 전체 금액까지
원하는 카드로 골라서 결제
차량 금액을 현금, 카드, 할부 등 원하는 결제 수단을 선택하여 금액을 조합하고, 부담을 최소화해 보세요.
내가 필요한 만큼 할부를 신청해서
차량 구매도 가능합니다.
실시간 금리 비교, A사 오토할부 금리 6% 최대한도 30,000,000원, B사 오토론, 금리 6% 최대한도 30,000,000원
※ 상기 이미지의 금리와 한도는 예시입니다.내가 원하는 만큼만
현금으로 납부할 수 있어요.
가지고 있는 여러 장의 카드로
원하는대로 분할결제 가능해요.
주문/결제, A 카드, B카드
차량 결제 시작
선수금 제외한 금액으로
필요한 만큼 할부 신청
원하는 만큼 남은 금액을
현금으로 결제
카드를 나눠서 남은
금액 결제
차량 대금 결제 완료
※ 이전등록비는 현금으로만 납부 가능합니다.
차량 가격 기준
최대 적립 포인트
차량 구매 완료 시 차량금액의 0.1%를 차량 브랜드에 따라 현대 블루멤버스 포인트/제네시스 멤버십 포인트로 적립해 드립니다.
상기 적립율은 대 당 최대 적립액은 최대 10만 포인트입니다. (원단위 소수점 절사)
주행거리 제한없이
차량대금 환불가능
차량 인수일 포함
3일내 무사고면 환불가능
왕복탁송료를 제외한
추가비용 ZERO
3일 이내라도 구매확정(명의이전)을 진행하신 경우에는 책임환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환불유의사항
남은 보증기간
1년/2만 KM 미만
부족한 만큼
기간 / 주행거리 연장
현대인증중고차 구매 완료
보증기간 1년/2만 KM 까지 보장!
남은 보증기간
만료
무조건
1년/2만 KM 연장
현대인증중고차 구매 완료
보증기간 1년/2만 KM 까지 보장!
현대인증중고차는 신차 전체 보증항목 대상으로 보증 연장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특히, 보증기간이 짧은 차체 및 일반부품과 냉난방부품도 전부 보증 연장 서비스에 포함됩니다.
중고차라서 수리가 걱정된다면?
현대인증중고차 보증 수리는 전국 하이테크센터와 블루핸즈에서 가능합니다.
유의사항
스마트폰과 음성인식으로 편리하게
차량을 제어하실 수 있습니다.
사고와 위급 상황에서도
든든하게 지켜드립니다.
고객님 차의 믿음직한 주치의가
되어드립니다.
빠르고 정확하게 목적지까지
안내해 드립니다.
차량에서 휴대폰 연결 없이 스트리밍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또는 NFC 카드 키에 차량을 등록하여
편리한 차량 제어를 경험해 보세요.
*옵션 구매 고객만 제공 가능합니다.
※ 신차 출고시 블루링크/제네시스 커넥티드카 서비스가 포함되지 않은 일부 차량은 서비스 제공이 불가합니다.
앱을 다운받아 현대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서비스를 경험해 보세요.
현대인증중고차의 차량들을 확인해볼까요?
내차사기 바로가기myHyundai App
마이현대는 멤버십, 차량관리, 카라이프 서비스 기능을 통합한 현대자동차의 차량 관리 대표 어플리케이션입니다.
* CarLife 전반의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으로 일관적이고 개선된 경험을 드립니다.
* 개인 회원 전용 서비스 입니다.
블루링크
현대자동차의 커넥티드 카 서비스, 블루링크를 통해 나와 차량, 나와 세상, 나와 미래를 연결합니다.
현대 디지털 키
스마트폰의 NFC/BLE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를 열고 시동을 걸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디지털 키 App으로 도어 잠금 / 잠금 해제, 원격시동, 비상경보, 트렁크 열림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자동차 키를 가족이나 지인에게 쉽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현대 셀렉션
- 이제 자동차도 넷플릭스처럼!
현대 셀렉션은 현대차를 월 단위로 이용하는 자동차 구독 서비스입니다.
- 곰곰히 생각할수록, 꼼꼼히 따져볼수록!
월 구독료만으로 주행 거리 무제한, 보험, 무료 배송까지 제공합니다.
- 모바일 앱으로 신청부터 결제까지 한번에!
Hyundai N
현대자동차 고성능 N 모델을 위해 랩 타임 기록, 서킷 주행 분석, 서킷 랭킹정보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 블루링크 가입 고객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운전결심
운전결심은 운전연수가 필요한 고객과 경찰청에 등록된 합법 운전 학원을 1:1 매칭시켜 드리는 서비스입니다.
운전결심을 통해 연수 예약부터 결제까지 가능하며, 연수 비용 할인, 신차 구매 혜택 등 운전결심만의 다양한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MY GENESIS
고객의 일상에 편의를 더할 차별화된 제네시스만의 모빌리티 라이프를 만나보세요.
새롭게 통합된 MY GENESIS에서 차량제어와 관리, 편의 서비스까지 모든 것을 한 번에 경험해볼 수 있습니다.
정밀검사 7건
항목 | 설명 |
---|---|
주요 옵션 | 주요옵션 확인 |
리콜대상 | 리콜 항목 및 조치결과 제공 |
색상 | 차량 색상 확인 |
용도변경 | 용도변경 내역 확인 |
배출가스 - 일산화탄소 | 배출가스-일산화탄소 측정 |
배출가스 - 탄화수소 | 배출가스-탄화수소 측정 |
배출가스 - 매연 | 배출가스-매연 측정 |
정밀검사 52건
항목 | 설명 |
---|---|
주행거리 | 차량이 주행한 거리 |
시트(열선,통풍,스위치 등 작동여부) | 시트 내 장착되어 계절별에 따라 사용되는 부가장치 |
시트벨트_앞 좌석 | 차량의 충돌이나 가감속시 승객이 시트에서 이탈하는 것을 구속하여 피해 또는 상해를 최소화 하는 장치 |
핸들(리모컨,혼,버튼 등) | 오디오, 크루즈작동, 차량정보확인 등 조작이 가능한 장치 |
핸들스위치(라이트,와이퍼 등) | 오토라이트, 오토와이퍼 등 조작이 가능한 장치 |
도어스위치(윈도우,미러,키즈락등) | 윈도우 작동, 미러, 키즈락 등 조작이 가능한 장치 |
룸 미러/램프,하이패스 등 | 룸미러, 실내등, 하이패스 작동 확인 |
글로브박스 및 선바이저(램프,거울상태) | 조수석 앞에 설치된 박스 모양의 수납공간 |
AVN시스템 등 | 오디오, 멀티미디어, 내비게이션 장치 등이 통합되어 있는 시스템 |
센터페시아,크래쉬패드 등 | 크래쉬패드 가운데에 설치된 각종 루버, 스위치, 오디오, 재떨이, 컵홀더 등이 모여있는 공간 |
센터콘솔,암레스트 등 | 프론트 시트 사이에 설치된 상자 모양의 작은 함으로 물건을 넣는 곳 |
공조(에어컨/히터)시스템 | 히터, 환기장치, 에어컨을 포함한 공조시스템 |
썬루프 상태,작동,버튼 | 차량의 천정에 설치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슬라이딩 개폐 작동하는 유리문으로 하늘을 보거나 신선한 공기유입이 가능한 편의장치 |
파워윈도우 모터 |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윈도우를 여닫는 장치 |
계기판 상태 | 속도, RPM, 경고등 기본 정보를 보여주는 상태 창 |
파워 도어 커튼 | 뒷좌석 유리를 통해 들어오는 외부 광선을 차단할 때 사용하는 커튼 |
도어 트림 무드등 | 도어트림, 크래시패드 가니쉬부에 시나리오 및 모드 별 무드조명을 구현하여 주행 편의성을 높이는 장치 |
스페어 타이어 | 주행중 타이어가 파손되었을 때 교환하기 위하여 트렁크나 차체에 보관하는 예비용 타이어 |
OVM공구 | 운행 중 발생되는 고장에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공구 일체 |
TMK(타이어수리키트) | 타이어 펑크시 스페어타이어 대용으로 임시 응급 조치하는 부품 |
비상삼각대 | 삼각형 모양의 안전표지판으로 사고 또는 고장등의 사유로 자동차를 운행할 수 없게 되었을 때 설치 |
조향컬럼 슈라우드 | 조향 컬럼을 감싸고 있는 판 |
기어노브 | 기어변속 손잡이 |
헤드라이닝 | 자동차 천장의 내장 |
프론트 도어 트림(좌) | 승객이 접촉하는 도어 안쪽 커버 |
후석 암레스트 | 후석 승객이 차속에서 편안한 자세가 되도록 팔꿈치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부품 |
리어 커튼 | 뒷좌석 유리를 통해 들어오는 외부 광선을 차단할 때 사용하는 커튼 |
트렁크 리드 트림 | 승용차의 경우 차량의 후방에 있는 트렁크룸을 보호하는 커버 |
트렁크 매트 | 트렁크 바닥에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깔개 |
리어 도어 트림(우) | 승객이 접촉하는 도어 안쪽 커버 |
프론트 도어 트림(우) | 승객이 접촉하는 도어 안쪽 커버 |
헤드레스트_앞 좌석 | 충격 시 승객의 두부에 후반각도에서 충격을 완화하여 두뇌손상을 경감하는 장치 |
시트벨트_뒷 좌석 | 차량의 충돌이나 가감속시 승객이 시트에서 이탈하는 것을 구속하여 피해 또는 상해를 최소화 하는 장치 |
헤드레스트_뒷 좌석 | 충격 시 승객의 두부에 후반각도에서 충격을 완화하여 두뇌손상을 경감하는 장치 |
리어 선쉐이드 | 뒷유리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햇빛을 가리는 부품 |
리어 도어 트림(좌) | 승객이 접촉하는 도어 안쪽 커버 |
실내송풍 모터 | 냉난방기 사용시 작동 되는 모터 |
냄새측정기(흡연냄새/악취) | 실내 흡연냄새,악취 등 측정 |
플로워매트 | 실내 고급감을 제공하여 방오/방수 효과로 매트 오염시 세척/건조가 편리한 매트 |
와이퍼(윈도우브러시) | 전면,후면 유리에 묻은 눈, 비 또는 흙탕물 등을 닦아내는 부품 |
구동벨트 | 엔진의 힘을 다른 부품(에어컨, 워터펌프, 발전기 등)에 전달하는 고무벨트 |
급제동 경보 기능 | 급제동시 후방 차량 운전자에게 급제동 경보를 전달하여 후방 추돌을 방지하는 기능 |
에어백 시스템(앞좌석 어드밴스드,운전석 무릎,앞좌석 센터 사이드,앞 & 뒤 사이드,전복 대응 커튼) | 충돌시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 |
전방 충돌방지 보조(차량,보행자,이륜차,교차로 대향차) | 전방의 차량, 보행자 및 자전거 탑승자와 충돌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주행 안전 기능 |
전자식 변속 다이얼(SBW) | 변속버튼을 전기적 신호로 변속제어기가 입력받아 기어단 변경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
동승석 워크인 디바이스 | 자동차에서 뒷좌석에 승차하는 승객이 승하차가 쉽도록 한 장치 |
디지털 키 | 차량 키가 없는 상황에서 디지털 키로 도어잠금/잠금해제 및 시동 가능 |
조향 연동 후방 모니터 | 주행 및 주차 시 후방 상황을 영상으로 보여주는 주차 안전 기능 |
공기 청정 시스템(미세먼지 센서) |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자동 공기 정화 기능 |
운전석 & 동승석 에르고 모션 시트 (18방향,쿠션 익스텐션,볼스터 전동 조절 적용,스트레칭 모드 포함) | 시트 내 공기주머니를 활용하여 주행 시 안락감과 최적의 착좌감을 구현하여 주행 감성 증대시켜주는 기능 |
증강현실 내비게이션 | 실제 주행 영상 위에 안내 지점과 진출 방향이 정확히 표시되어 직관적으로 운행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 |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 | 차량 외부에서 원격으로 주차 및 출차 가능한 기능 |
정밀검사 3건
항목 | 설명 |
---|---|
Engine ROM ID | 엔진 ROM ID 정보 점검 |
TCU ROM ID_A/T | 변속기 ROM ID 정보 점검 |
ACU ROM ID | 에어컨 시스템 ROM ID 정보 점검 |
정밀검사 26건
항목 | 설명 |
---|---|
원동기(엔진) DTC | 엔진 제어 시스템 점검 |
변속기(미션,TCU) DTC | 변속기 제어 시스템 점검 |
ABS/ESP DTC | 잠김 방지 브레이크 시스템/전자식 차량 자세 제어 시스템 점검 |
Airbag DTC | 에어백 시스템 점검 |
MDPS DTC | 전자식 스티어링 시스템 점검 |
ECS DTC | 전자 제어 에어서스펜션 점검 |
FATC DTC |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 점검 |
SCC/AEB DTC | 차간거리제어시스템 점검 |
DDM DTC | 운전석 도어 모듈 점검 |
CLU DTC | 클러스터 유닛(계기판) 점검 |
MFSW DTC | 다기능 스위치(턴시그널, 와이퍼 등) 점검 |
PSM DTC_PSM | 전동식 시트 제어 모듈 점검 |
APSM DTC | 승객석 파워시트 모듈 점검 |
PSM DTC_RL&RR | 파워시트모듈 후석 좌/우 점검 |
SCM DTC |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컬럼 점검 |
PTM DTC | 전자식 트렁크 자동 개폐 시스템 점검 |
HUD DTC | 전방표시장치 점검 |
WPC DTC | 무선 충전 시스템 점검 |
RWPC DTC | 후석 무선 충전 시스템 점검 |
ARS DTC | 암레스트 스위치(후석 팔거리 스위치 제어) 점검 |
IBU DTC_BCM | 통합 바디 제어기_도어락, 도어언락 등 옵션을 설정하는 차체 제어 모듈 점검 |
IBU DTC_SMK | 스마트키 시스템 점검 |
ICU DTC | 통합 컨트롤 모듈 점검 |
ADAS_PRK DTC | 자율주차 시스템 및 관련부품 점검 |
MLM DTC | 무드램프제어 점검 |
Seat Sytem DTC | 좌석 시스템 제어(열선, 파워시트, 안마 시스템 등) 점검 |
정밀검사 3건
항목 | 설명 |
---|---|
곰팡이,녹,냄새/악취,오물 | 실내 침수여부 확인 |
안전벨트,매트,퓨즈박스 등 | 실내 침수여부 확인 |
시트오물,좌석레일 녹 | 실내 침수여부 확인 |
정밀검사 22건
항목 | 설명 |
---|---|
도어체크(힌지,볼트 등) | 도어를 반쯤 열린 상태로 유지하며, 더 열었을 때 스토퍼의 역할 |
트렁크 리드 | 승용차의 경우 차량의 후방에 있는 트렁크룸을 보호하는 판넬 |
라디에이터 서포트(볼트 등) | 라디에이터, 헤드 램프, 퍼스트 크로스 멤버 등을 지지하는 패널 |
프론트 패널/사이드 멤버 | 엔진룸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뼈대를 담당하는 패널 |
크로스 멤버 | 차량 앞부분 주요골격을 좌우방향으로 보강해주는 부위 |
인사이드 패널(좌) | 바퀴 위부분 차체부위 |
트렁크 플로어 패널 | 트렁크 룸 밑바닥 면 |
리어 패널/사이드 멤버 | 차체 가장 후미에 장착되는 패널 |
사이드 멤버(앞/좌) | 차체 앞쪽에 위치, 앞뒤방향으로 보강해주는 부위 |
휠하우스(앞/좌) | 앞바퀴를 덮고 있는 안쪽 덮개 |
패키지트레이 | 후면유리 아래쪽 선반 |
대시 패널 | 엔진룸과 실내를 구분하는 격벽 |
플로어 패널 | 자동차 실내바닥면 |
인사이드 패널(우) | 바퀴 위부분 차체부위 |
사이드 멤버(앞/우) | 차체 앞쪽에 위치, 앞뒤방향으로 보강해주는 부위 |
사이드 멤버(뒤/좌) | 차체 뒷쪽에 위치, 앞뒤방향으로 보강해주는 부위 |
사이드 멤버(뒤/우) | 차체 뒷쪽에 위치, 앞뒤방향으로 보강해주는 부위 |
휠하우스(뒤/좌) | 뒷바퀴를 덮고 있는 차체 안쪽 덮개 |
휠하우스(뒤/우) | 뒷바퀴를 덮고 있는 차체 안쪽 덮개 |
휠하우스(앞/우) | 앞바퀴를 덮고 있는 안쪽 덮개 |
사고이력 | 사고이력 확인 |
단순수리 | 단순수리 확인 |
정밀검사 24건
항목 | 설명 |
---|---|
클러치 어셈블리 | 변속 전 엔진의 동력을 잠시 끊고 연결할 수 있는 장치 |
등속조인트(드라이브 샤프트) | 전륜 구동차의 앞차축으로 사용되는 장치 |
추진축 및 베어링 | 변속기의 출력을 종감속장치(차동 및 종감속기어)에 전달하는 장치 |
동력조향 작동/오일누유 | 스티어링 기어박스 및 연결부 누유 확인 |
스티어링기어 작동상태 | 스티어링 작동상태 확인 |
스티어링펌프 상태 | 스티어링 기어 작동펌프 상태 확인 |
타이로드엔드 및 볼조인트 | 토인(toe in) 교정을 위해 길이를 조절하는 장칙 |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오일 누유 |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력을 유압으로 변경하는 장치 |
브레이크 오일 누유 | 브레이크 마스터실린더에서 연결 파이프 및 부위 누유 확인 |
배력장치(부스터) 상태 | 운전자의 페달압력을 배가 시키주는 장치 |
엔진오일팬&마운팅 | 엔진 지지하고 차체에 고정하는 부품 |
미션오일팬&마운팅 | 미션 지지하고 차체에 고정하는 부품 |
스테빌라이져,로어암 | 차체의 롤링을 줄이기 위하여 붙이는 ㄷ자형의 토션바 |
쇽업쇼버&코일스프링 | 차량이 받는 충격을 흡수 또는 완화 해주는 장치 |
트랜스퍼 | 엔진의 동력을 모든 차축과 바퀴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 |
브레이크패드/디스크/라이닝 | 브레이크의 제동장치로 디스크를 양쪽에서 패드 유압으로 압박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 |
배기머플러 | 배기가스가 배출될때 발생하는 소리와 유해물질을 정화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 |
타이어 트래드,마모도 | 타이어 마모도 확인 |
연료통 | 연료 누출여부 확인 |
리어액슬(4W) | 엔진의 회전력을 전후의 모든바퀴에 전달하는 장칙 |
연료누출(LP가스) | 연료 누출여부 확인 |
스티어링조인트 | 차량의 조향을 가능하게 하는 부품 |
언더 커버 | 엔진,미션 또는 엔진의 각종 부속장치를 보호하거나 소음저감 등을 목적으로 차체 아랫부분에 붙이는 부품 |
프리뷰 전자제어 서스펜션 | 주행 중 도로 상태를 파악하고 방지턱과 같은 충격이 운전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스스로 서스펜션을 조절해 주는 시스템 |
정밀검사 27건
항목 | 설명 |
---|---|
차대번호 | 엔진룸 내 차대번호 확인 |
엔진부조/소음 | 공회전 시 진동,소음 등 확인 |
[누유]로커암커버 | 실린더 헤드와 커버 사이의 누유여부 확인 |
[누유]엔진오일팬 누유 | 엔진오일팬과 실린더블록 사이의 누유여부 확인 |
엔진오일량/상태 | 엔진오일량 확인 |
[누수]실린더 헤드/가스켓 | 실린더 헤드와 블록 사이의 누유여부 확인 |
[누수]워터펌프 | 실린더 블록과 워터펌프 사이의 누수여부 확인 |
[누수]라디에이터 | 라디에이터 코어 막힘 확인 |
[누수]냉각수 수량 | 부동액 호스 누수 여부 및 보관탱크 수량 확인 |
고압펌프(커먼레일)-디젤 | 엔진 연료라인내 높은 압력으로 공급하는 장치 |
미션 오일누유 | 엔진 미션 사이의 누유여부 확인 |
미션 오일유량/상태 | 미션오일량 확인 |
미션 작동상태(공회전) | 공회전 시 미션상태 확인 |
발전기(알터네이터) 출력 | 공회전 시 발전기의 충전전압 확인 |
시동(스타트) 모터 | 엔진 시동 작동여부 확인 |
와이퍼 모터 기능 | 자동차 전면유리에 시야확보를 위한 와이퍼 장치를 구동시키는 모터 |
라디에이터 팬 모터 | 라디에이터 앞 부착되어 있어 일정온도 시 자동으로 작동 되는 모터 |
휀벨트 | 엔진회전력을 회전이 필요로 하는 다른 부품에 전달하는 고무벨트 |
에어필터(클리너) | 엔진의 실린더에 흡입되는 공기 속의 불순물을 여과시키는 부품 |
연료필터 | 연료속에 있는 불순물을 여과하는 부품 |
브레이크액 | 브레이크 오일량 확인 |
배터리 상태,충전전압 | 배터리 전압. 충전정압 확인 |
점화플러그 | 엔진 연소실에 장착되어 혼합기의 점화를 위해 전기방전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부품 |
휴즈박스 | 휴즈박스 상태 확인 |
점화 코일 | 점화플러그에 전기 스파크를 튀게 하기 위하여 고전압을 발생 시키는 일종의 변압기 |
에어컨 가스 | 차량 에어컨가스를 압축순환시켜 실내를 시원하게하는 냉각 장치 |
파워고압호스 | 고압의 오일을 펌프에서 컨트롤 밸브로 보내거나 컨트롤 밸브에서 파워 실린더로 보내는 호스 |
정밀검사 58건
항목 | 설명 |
---|---|
앞 범퍼,스키드플레이트 | 장애물과 부딪칠 시에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 |
라디에이터 그릴 | 라디에이터의 냉각에 필요한 공기를 받아들이는 통풍구 역할 |
후드 패널 | 차 앞부분에 있는 엔진부 위에서 열고 닫히는 패널 |
점검 장면 촬영 사진(앞면) | 점검장면촬영사진(앞면) 제공 |
앞 전조등,방향등,주간주행등(좌) | 야간에 전방을 비추고,도로상의 장해물 등을 확인하는 라이트 |
앞 휀더(좌) | 자동차의 바퀴 주변을 감싸는 외장 부품 |
앞 타이어(좌) | 차량의 바퀴에 장착되는 고무 |
A필러패널(좌) | 도어부와 천정을 연결하는 기둥으로 차에 강도를 더해주는 역할로 프런트 윈도와 사이드 윈도의 중간에 있는 위치 |
앞 도어(좌) | 승하차할 수 있는 차문 |
앞 도어 유리(좌) | 도어에 부착되어 있는 유리 |
사이드미러(좌) | 도어에 부착되어 후방을 볼수 있는 거울 |
B필러패널(좌) | 도어부와 천정을 연결하는 기둥으로 차에 강도를 더해주는 역할로 앞뒤 도어의 중간 위치 |
뒤 도어(좌) | 승하차할 수 있는 차문 |
뒤 도어유리,쿼터유리(좌) | 뒤 도어,2열 뒤 부착되어 있는 유리 |
사이드실패널(좌) | 측면 하단부의 프레임을 대신하는 패널 |
뒤 휀더=쿼터패널(좌) | 자동차의 바퀴 주변을 감싸는 외장 부품 |
뒤 타이어(좌) | 차량의 바퀴에 장착되는 고무 |
C필러패널(좌) | 도어부와 천정을 연결하는 기둥으로 차에 강도를 더해주는 역할로 리어도어와 리어윈도 중간에 위치 |
루프패널 | 자동차 윗부분에 씌우는 덥개 패널 |
연료주입구,캡 | 연료 탱크를 덮고 보호하는 부품 |
뒤 램프,방향등,후미등(좌) | 야간 운행시 후방 차량에게 자차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설치한 등화장치 |
가니쉬,외캐치(앞 도어_좌) | 도어의 미관 개선 외 외부물질(돌 등)로부터 차체면을 보호하는 패널/도어를 닫기 위한 손잡이 |
가니쉬,외캐치(뒤 도어_좌) | 도어의 미관 개선 외 외부물질(돌 등)로부터 차체면을 보호하는 패널/도어를 닫기 위한 손잡이 |
루프랙,몰딩 등 | 차량의 지붕에 짐을 싣거나 고정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세로로 설치된 2개의 봉 |
D필러패널(좌) | 도어부와 천정을 연결하는 기둥으로 차에 강도를 더해주는 역할 맨 뒤에 위치 (왜건,SUV) |
앞 휠(좌) | 타이어를 지탱하고 있는 부품 |
뒤 휠(좌) | 타이어를 지탱하고 있는 부품 |
전면 유리 | 자동차의 앞 창유리 |
글래스 선루프 | 차량의 천정에 설치한 유리문 |
사이드미러 램프(좌) | 주행의 방향 전환 및 비상 상태를 알리기 위한 등 |
사이드미러 램프(우) | 주행의 방향 전환 및 비상 상태를 알리기 위한 등 |
뒤 유리 | 뒤쪽 창문을 지칭한 것 |
트렁크,엠블럼,번호판,램프 | 자동차를 장식하기 위해 제조 회사명이나 차의 이름 등을 설치하는 부품 |
뒤 범퍼,스키드플레이트 | 장애물과 부딪칠 시에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 |
점검 장면 촬영 사진(뒷면) | 점검장면촬영사진(뒷면) 제공 |
뒤 램프,방향등,후미등(우) | 야간 운행시 후방 차량에게 자차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설치한 등화장치 |
C필러패널(우) | 도어부와 천정을 연결하는 기둥으로 차에 강도를 더해주는 역할로 리어도어와 리어윈도 중간에 위치 |
뒤 휀더=쿼터패널(우) | 뒤 타이어를 덮고 있는 부분 |
뒤 타이어(우) | 차량의 바퀴에 장착되는 고무 |
B필러패널(우) | 도어부와 천정을 연결하는 기둥으로 차에 강도를 더해주는 역할로 앞뒤 도어의 중간 위치 |
뒤 도어(우) | 승하차할 수 있는 차문 |
뒤 도어유리,쿼터유리(우) | 뒤 도어 및 2열 뒤 부착되어 있는 유리 |
사이드실패널(우) | 측면 하단부의 프레임을 대신하는 패널 |
앞 도어(우) | 승하차할 수 있는 차문 |
앞 도어 유리(우) | 도어에 부착되어 있는 유리 |
사이드미러(우) | 도어에 부착되어 후방을 볼수 있는 거울 |
앞 휀더(우) | 자동차의 바퀴 주변을 감싸는 외장 부품 |
앞 타이어(우) | 차량의 바퀴에 장착되는 고무 |
A필러패널(우) | 도어부와 천정을 연결하는 기둥으로 차에 강도를 더해주는 역할로 프런트 윈도와 사이드 윈도의 중간에 있는 위치 |
앞 전조등,방향등,주간주행등(우) | 자동차 전면에 부착되어 야간주행 시 앞을 환하게 비추기 위해 설치된 전등 |
가니쉬,외캐치(뒤 도어_우) | 도어의 미관 개선 외 외부물질(돌 등)로부터 차체면을 보호하는 패널/도어를 닫기 위한 손잡이 |
가니쉬,외캐치(앞 도어_우) | 도어의 미관 개선 외 외부물질(돌 등)로부터 차체면을 보호하는 패널/도어를 닫기 위한 손잡이 |
D필러패널(우) | 도어부와 천정을 연결하는 기둥으로 차에 강도를 더해주는 역할 맨 뒤에 위치 (왜건,SUV) |
뒤 휠(우) | 타이어를 지탱하고 있는 부품 |
앞 휠(우) | 타이어를 지탱하고 있는 부품 |
튜닝 | 차량의 성능,외관 또는 기타 부분을 개선하는 작업 |
특별이력(화재 또는 침수) | 특별이력(화재또는침수) 확인 |
후진 가이드 램프 | 후진 시 점선 패턴의 가이드 조명 구현을 통해 주변 차량 및 보행자에게 후진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사고를 예방 |
정밀검사 43건
항목 | 설명 |
---|---|
좌측 전조등 하향 | 야간에 전방을 비추고,도로상의 장해물 등을 확인하는 라이트 |
우측 전조등 하향 | 야간에 전방을 비추고,도로상의 장해물 등을 확인하는 라이트 |
좌측 전조등 상향 | 야간에 전방을 비추고,도로상의 장해물 등을 확인하는 라이트 |
우측 전조등 상향 | 야간에 전방을 비추고,도로상의 장해물 등을 확인하는 라이트 |
좌측 전방 방향지시등 | 주행의 방향 전환 및 비상 상태를 알리기 위한 등 |
우측 전방 방향지시등 | 주행의 방향 전환 및 비상 상태를 알리기 위한 등 |
좌측 후방 방향지시등 | 주행의 방향 전환 및 비상 상태를 알리기 위한 등 |
우측 후방 방향지시등 | 주행의 방향 전환 및 비상 상태를 알리기 위한 등 |
좌측 정지등 |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점등되는 적색 등 |
우측 정지등 |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점등되는 적색 등 |
좌측 주간주행등 전용 램프 | 운전자의 주간 가시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주행시 상시 점등 |
우측 주간주행등 전용 램프 | 운전자의 주간 가시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주행시 상시 점등 |
핸들 열선 출력 | 한냉시에 핸들을 따뜻하게 하기 위한 장치 |
뒷유리 열선 | 유리를 따뜻하게 함으로써 물방울이나 서리에 의한 흐림을 제거하는 장치 |
사이드 미러 열선 | 유리를 따뜻하게 함으로써 물방울이나 서리에 의한 흐림을 제거하는 장치 |
전방와이퍼 LOW, HIGH | 전면 눈, 비 또는 흙탕물 등을 닦아내는 장치 |
후방와이퍼 | 후면 눈, 비 또는 흙탕물 등을 닦아내는 장치 |
냉각팬 PWM 구동 | 라디에이터 앞 부착되어 있어 일정온도 시 자동으로 작동 되는 모터 |
Anti-Theft Horn | 클락션 점검 |
연료_펌프릴레이 | 연료펌프 전원을 공급하는 전자제어 장치 |
운전석 온도조절 액추에이터 | 온도를 승객이 원하는 대로 독립적으로 온도조절이 가능한 장치 |
조수석 온도조절 액추에이터 | 온도를 승객이 원하는 대로 독립적으로 온도조절이 가능한 장치 |
운전석 모드 선택 | 운전석 에어컨 제어 점검 |
조수석 모드 선택 | 조수석 에어컨 제어 점검 |
내외기 액추에이터 | 외부공기를 차단하는 장치 점검 |
보조 정지등 | 기존 브레이크등을 보조하는 등 |
후진등 | 후진 시 안전을 위해 점등 |
시트 열선_운전석 | 한냉시에 시트를 따뜻하게 하기 위한 장치 |
시트 열선_조수석 | 한냉시에 시트를 따뜻하게 하기 위한 장치 |
시트 열선_2열 좌측 | 한냉시에 시트를 따뜻하게 하기 위한 장치 |
시트 열선_2열 우측 | 한냉시에 시트를 따뜻하게 하기 위한 장치 |
보조배터리 충전상태 | 보조배터리 충전상태 측정 |
보조배터리 전압 | 보조배터리 전압 점검 |
자동 습기 제거 센서 | 앞 유리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차량 유리의 김서림 정도를 감지 |
실내온도 센서 | 실내온도 센서는 차실 내의 공기를 흡입한 후 온도를 감지 |
외기 온도 센서 | 외기온도 센서는 차실 외부의 온도를 감지 |
운전석 에어백 회로 저항_에어백 1단계 | 운전석 에어백 이상여부 확인 점검 |
운전석 에어백 회로 저항_사이드 에어백 | 운전석 사이드 에어백 이상여부 확인 점검 |
조수석 에어백 회로 저항_에어백 1단계 | 조수석 에어백 이상여부 확인 점검 |
조수석 에어백 회로 저항_사이드 에어백 | 조수석 사이드 에어백 이상여부 확인 점검 |
운전석 조임기 회로 저항_시트 벨트 | 운전석 시트벨트 이상여부 확인 점검 |
조수석 조임기 회로 저항_시트 벨트 | 조수석 시트벨트 이상여부 확인 점검 |
TPMS 센서 | 타이어 내부 공기압을 감지 점검 |
정밀검사 7건
항목 | 설명 |
---|---|
페달_가속/브레이크/클러치 | 운전자가 가속,브레이크,클러치 작동을 위해 발로 조작하는 장치 |
스톨테스트(정지) | 자동변속기를 설치한 자동차의 브레이크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D/R단 중 가속페달을 밟아 엔진의 최고 회전속도를 측정 |
엔진/변속기 소음,충격 | 엔진,변속기 소음 및 충격 측정 |
주행소음,풍절음,잡소리 | 실내 소음 측정 |
주행직진성(얼라이먼트) | 자동차 바퀴의 위치, 방향 등의 정렬 상태 측정 |
좌/우 회전시 소음 | 정차/운행 중 차량 회전시 소음 측정 |
핸들링(스티어링) 안전성 | 핸들링 안정성 측정 |
현대 인증중고차는 272여개의 자체 정밀진단 점검항목을 기준으로 철저하게 점검하여 믿을 수 있는 중고차입니다.
정밀검사 7건
항목 | 설명 |
---|---|
주요 옵션 | 주요옵션 확인 |
리콜대상 | 리콜 항목 및 조치결과 제공 |
색상 | 차량 색상 확인 |
용도변경 | 용도변경 내역 확인 |
배출가스 - 일산화탄소 | 배출가스-일산화탄소 측정 |
배출가스 - 탄화수소 | 배출가스-탄화수소 측정 |
배출가스 - 매연 | 배출가스-매연 측정 |
정밀검사 52건
항목 | 설명 |
---|---|
주행거리 | 차량이 주행한 거리 |
시트(열선,통풍,스위치 등 작동여부) | 시트 내 장착되어 계절별에 따라 사용되는 부가장치 |
시트벨트_앞 좌석 | 차량의 충돌이나 가감속시 승객이 시트에서 이탈하는 것을 구속하여 피해 또는 상해를 최소화 하는 장치 |
핸들(리모컨,혼,버튼 등) | 오디오, 크루즈작동, 차량정보확인 등 조작이 가능한 장치 |
핸들스위치(라이트,와이퍼 등) | 오토라이트, 오토와이퍼 등 조작이 가능한 장치 |
도어스위치(윈도우,미러,키즈락등) | 윈도우 작동, 미러, 키즈락 등 조작이 가능한 장치 |
룸 미러/램프,하이패스 등 | 룸미러, 실내등, 하이패스 작동 확인 |
글로브박스 및 선바이저(램프,거울상태) | 조수석 앞에 설치된 박스 모양의 수납공간 |
AVN시스템 등 | 오디오, 멀티미디어, 내비게이션 장치 등이 통합되어 있는 시스템 |
센터페시아,크래쉬패드 등 | 크래쉬패드 가운데에 설치된 각종 루버, 스위치, 오디오, 재떨이, 컵홀더 등이 모여있는 공간 |
센터콘솔,암레스트 등 | 프론트 시트 사이에 설치된 상자 모양의 작은 함으로 물건을 넣는 곳 |
공조(에어컨/히터)시스템 | 히터, 환기장치, 에어컨을 포함한 공조시스템 |
썬루프 상태,작동,버튼 | 차량의 천정에 설치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슬라이딩 개폐 작동하는 유리문으로 하늘을 보거나 신선한 공기유입이 가능한 편의장치 |
파워윈도우 모터 | 전기모터를 이용하여 차량의 윈도우를 여닫는 장치 |
계기판 상태 | 속도, RPM, 경고등 기본 정보를 보여주는 상태 창 |
파워 도어 커튼 | 뒷좌석 유리를 통해 들어오는 외부 광선을 차단할 때 사용하는 커튼 |
도어 트림 무드등 | 도어트림, 크래시패드 가니쉬부에 시나리오 및 모드 별 무드조명을 구현하여 주행 편의성을 높이는 장치 |
스페어 타이어 | 주행중 타이어가 파손되었을 때 교환하기 위하여 트렁크나 차체에 보관하는 예비용 타이어 |
OVM공구 | 운행 중 발생되는 고장에 필요로 하는 최소한의 공구 일체 |
TMK(타이어수리키트) | 타이어 펑크시 스페어타이어 대용으로 임시 응급 조치하는 부품 |
비상삼각대 | 삼각형 모양의 안전표지판으로 사고 또는 고장등의 사유로 자동차를 운행할 수 없게 되었을 때 설치 |
조향컬럼 슈라우드 | 조향 컬럼을 감싸고 있는 판 |
기어노브 | 기어변속 손잡이 |
헤드라이닝 | 자동차 천장의 내장 |
프론트 도어 트림(좌) | 승객이 접촉하는 도어 안쪽 커버 |
후석 암레스트 | 후석 승객이 차속에서 편안한 자세가 되도록 팔꿈치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부품 |
리어 커튼 | 뒷좌석 유리를 통해 들어오는 외부 광선을 차단할 때 사용하는 커튼 |
트렁크 리드 트림 | 승용차의 경우 차량의 후방에 있는 트렁크룸을 보호하는 커버 |
트렁크 매트 | 트렁크 바닥에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깔개 |
리어 도어 트림(우) | 승객이 접촉하는 도어 안쪽 커버 |
프론트 도어 트림(우) | 승객이 접촉하는 도어 안쪽 커버 |
헤드레스트_앞 좌석 | 충격 시 승객의 두부에 후반각도에서 충격을 완화하여 두뇌손상을 경감하는 장치 |
시트벨트_뒷 좌석 | 차량의 충돌이나 가감속시 승객이 시트에서 이탈하는 것을 구속하여 피해 또는 상해를 최소화 하는 장치 |
헤드레스트_뒷 좌석 | 충격 시 승객의 두부에 후반각도에서 충격을 완화하여 두뇌손상을 경감하는 장치 |
리어 선쉐이드 | 뒷유리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햇빛을 가리는 부품 |
리어 도어 트림(좌) | 승객이 접촉하는 도어 안쪽 커버 |
실내송풍 모터 | 냉난방기 사용시 작동 되는 모터 |
냄새측정기(흡연냄새/악취) | 실내 흡연냄새,악취 등 측정 |
플로워매트 | 실내 고급감을 제공하여 방오/방수 효과로 매트 오염시 세척/건조가 편리한 매트 |
와이퍼(윈도우브러시) | 전면,후면 유리에 묻은 눈, 비 또는 흙탕물 등을 닦아내는 부품 |
구동벨트 | 엔진의 힘을 다른 부품(에어컨, 워터펌프, 발전기 등)에 전달하는 고무벨트 |
급제동 경보 기능 | 급제동시 후방 차량 운전자에게 급제동 경보를 전달하여 후방 추돌을 방지하는 기능 |
에어백 시스템(앞좌석 어드밴스드,운전석 무릎,앞좌석 센터 사이드,앞 & 뒤 사이드,전복 대응 커튼) | 충돌시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 |
전방 충돌방지 보조(차량,보행자,이륜차,교차로 대향차) | 전방의 차량, 보행자 및 자전거 탑승자와 충돌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주행 안전 기능 |
전자식 변속 다이얼(SBW) | 변속버튼을 전기적 신호로 변속제어기가 입력받아 기어단 변경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 |
동승석 워크인 디바이스 | 자동차에서 뒷좌석에 승차하는 승객이 승하차가 쉽도록 한 장치 |
디지털 키 | 차량 키가 없는 상황에서 디지털 키로 도어잠금/잠금해제 및 시동 가능 |
조향 연동 후방 모니터 | 주행 및 주차 시 후방 상황을 영상으로 보여주는 주차 안전 기능 |
공기 청정 시스템(미세먼지 센서) | 차량 내부의 공기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자동 공기 정화 기능 |
운전석 & 동승석 에르고 모션 시트 (18방향,쿠션 익스텐션,볼스터 전동 조절 적용,스트레칭 모드 포함) | 시트 내 공기주머니를 활용하여 주행 시 안락감과 최적의 착좌감을 구현하여 주행 감성 증대시켜주는 기능 |
증강현실 내비게이션 | 실제 주행 영상 위에 안내 지점과 진출 방향이 정확히 표시되어 직관적으로 운행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 |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 | 차량 외부에서 원격으로 주차 및 출차 가능한 기능 |
정밀검사 3건
항목 | 설명 |
---|---|
Engine ROM ID | 엔진 ROM ID 정보 점검 |
TCU ROM ID_A/T | 변속기 ROM ID 정보 점검 |
ACU ROM ID | 에어컨 시스템 ROM ID 정보 점검 |
정밀검사 26건
항목 | 설명 |
---|---|
원동기(엔진) DTC | 엔진 제어 시스템 점검 |
변속기(미션,TCU) DTC | 변속기 제어 시스템 점검 |
ABS/ESP DTC | 잠김 방지 브레이크 시스템/전자식 차량 자세 제어 시스템 점검 |
Airbag DTC | 에어백 시스템 점검 |
MDPS DTC | 전자식 스티어링 시스템 점검 |
ECS DTC | 전자 제어 에어서스펜션 점검 |
FATC DTC |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 점검 |
SCC/AEB DTC | 차간거리제어시스템 점검 |
DDM DTC | 운전석 도어 모듈 점검 |
CLU DTC | 클러스터 유닛(계기판) 점검 |
MFSW DTC | 다기능 스위치(턴시그널, 와이퍼 등) 점검 |
PSM DTC_PSM | 전동식 시트 제어 모듈 점검 |
APSM DTC | 승객석 파워시트 모듈 점검 |
PSM DTC_RL&RR | 파워시트모듈 후석 좌/우 점검 |
SCM DTC |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컬럼 점검 |
PTM DTC | 전자식 트렁크 자동 개폐 시스템 점검 |
HUD DTC | 전방표시장치 점검 |
WPC DTC | 무선 충전 시스템 점검 |
RWPC DTC | 후석 무선 충전 시스템 점검 |
ARS DTC | 암레스트 스위치(후석 팔거리 스위치 제어) 점검 |
IBU DTC_BCM | 통합 바디 제어기_도어락, 도어언락 등 옵션을 설정하는 차체 제어 모듈 점검 |
IBU DTC_SMK | 스마트키 시스템 점검 |
ICU DTC | 통합 컨트롤 모듈 점검 |
ADAS_PRK DTC | 자율주차 시스템 및 관련부품 점검 |
MLM DTC | 무드램프제어 점검 |
Seat Sytem DTC | 좌석 시스템 제어(열선, 파워시트, 안마 시스템 등) 점검 |
정밀검사 3건
항목 | 설명 |
---|---|
곰팡이,녹,냄새/악취,오물 | 실내 침수여부 확인 |
안전벨트,매트,퓨즈박스 등 | 실내 침수여부 확인 |
시트오물,좌석레일 녹 | 실내 침수여부 확인 |
정밀검사 22건
항목 | 설명 |
---|---|
도어체크(힌지,볼트 등) | 도어를 반쯤 열린 상태로 유지하며, 더 열었을 때 스토퍼의 역할 |
트렁크 리드 | 승용차의 경우 차량의 후방에 있는 트렁크룸을 보호하는 판넬 |
라디에이터 서포트(볼트 등) | 라디에이터, 헤드 램프, 퍼스트 크로스 멤버 등을 지지하는 패널 |
프론트 패널/사이드 멤버 | 엔진룸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뼈대를 담당하는 패널 |
크로스 멤버 | 차량 앞부분 주요골격을 좌우방향으로 보강해주는 부위 |
인사이드 패널(좌) | 바퀴 위부분 차체부위 |
트렁크 플로어 패널 | 트렁크 룸 밑바닥 면 |
리어 패널/사이드 멤버 | 차체 가장 후미에 장착되는 패널 |
사이드 멤버(앞/좌) | 차체 앞쪽에 위치, 앞뒤방향으로 보강해주는 부위 |
휠하우스(앞/좌) | 앞바퀴를 덮고 있는 안쪽 덮개 |
패키지트레이 | 후면유리 아래쪽 선반 |
대시 패널 | 엔진룸과 실내를 구분하는 격벽 |
플로어 패널 | 자동차 실내바닥면 |
인사이드 패널(우) | 바퀴 위부분 차체부위 |
사이드 멤버(앞/우) | 차체 앞쪽에 위치, 앞뒤방향으로 보강해주는 부위 |
사이드 멤버(뒤/좌) | 차체 뒷쪽에 위치, 앞뒤방향으로 보강해주는 부위 |
사이드 멤버(뒤/우) | 차체 뒷쪽에 위치, 앞뒤방향으로 보강해주는 부위 |
휠하우스(뒤/좌) | 뒷바퀴를 덮고 있는 차체 안쪽 덮개 |
휠하우스(뒤/우) | 뒷바퀴를 덮고 있는 차체 안쪽 덮개 |
휠하우스(앞/우) | 앞바퀴를 덮고 있는 안쪽 덮개 |
사고이력 | 사고이력 확인 |
단순수리 | 단순수리 확인 |
정밀검사 24건
항목 | 설명 |
---|---|
클러치 어셈블리 | 변속 전 엔진의 동력을 잠시 끊고 연결할 수 있는 장치 |
등속조인트(드라이브 샤프트) | 전륜 구동차의 앞차축으로 사용되는 장치 |
추진축 및 베어링 | 변속기의 출력을 종감속장치(차동 및 종감속기어)에 전달하는 장치 |
동력조향 작동/오일누유 | 스티어링 기어박스 및 연결부 누유 확인 |
스티어링기어 작동상태 | 스티어링 작동상태 확인 |
스티어링펌프 상태 | 스티어링 기어 작동펌프 상태 확인 |
타이로드엔드 및 볼조인트 | 토인(toe in) 교정을 위해 길이를 조절하는 장칙 |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오일 누유 |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력을 유압으로 변경하는 장치 |
브레이크 오일 누유 | 브레이크 마스터실린더에서 연결 파이프 및 부위 누유 확인 |
배력장치(부스터) 상태 | 운전자의 페달압력을 배가 시키주는 장치 |
엔진오일팬&마운팅 | 엔진 지지하고 차체에 고정하는 부품 |
미션오일팬&마운팅 | 미션 지지하고 차체에 고정하는 부품 |
스테빌라이져,로어암 | 차체의 롤링을 줄이기 위하여 붙이는 ㄷ자형의 토션바 |
쇽업쇼버&코일스프링 | 차량이 받는 충격을 흡수 또는 완화 해주는 장치 |
트랜스퍼 | 엔진의 동력을 모든 차축과 바퀴에 전달하기 위한 장치 |
브레이크패드/디스크/라이닝 | 브레이크의 제동장치로 디스크를 양쪽에서 패드 유압으로 압박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 |
배기머플러 | 배기가스가 배출될때 발생하는 소리와 유해물질을 정화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 |
타이어 트래드,마모도 | 타이어 마모도 확인 |
연료통 | 연료 누출여부 확인 |
리어액슬(4W) | 엔진의 회전력을 전후의 모든바퀴에 전달하는 장칙 |
연료누출(LP가스) | 연료 누출여부 확인 |
스티어링조인트 | 차량의 조향을 가능하게 하는 부품 |
언더 커버 | 엔진,미션 또는 엔진의 각종 부속장치를 보호하거나 소음저감 등을 목적으로 차체 아랫부분에 붙이는 부품 |
프리뷰 전자제어 서스펜션 | 주행 중 도로 상태를 파악하고 방지턱과 같은 충격이 운전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스스로 서스펜션을 조절해 주는 시스템 |
정밀검사 27건
항목 | 설명 |
---|---|
차대번호 | 엔진룸 내 차대번호 확인 |
엔진부조/소음 | 공회전 시 진동,소음 등 확인 |
[누유]로커암커버 | 실린더 헤드와 커버 사이의 누유여부 확인 |
[누유]엔진오일팬 누유 | 엔진오일팬과 실린더블록 사이의 누유여부 확인 |
엔진오일량/상태 | 엔진오일량 확인 |
[누수]실린더 헤드/가스켓 | 실린더 헤드와 블록 사이의 누유여부 확인 |
[누수]워터펌프 | 실린더 블록과 워터펌프 사이의 누수여부 확인 |
[누수]라디에이터 | 라디에이터 코어 막힘 확인 |
[누수]냉각수 수량 | 부동액 호스 누수 여부 및 보관탱크 수량 확인 |
고압펌프(커먼레일)-디젤 | 엔진 연료라인내 높은 압력으로 공급하는 장치 |
미션 오일누유 | 엔진 미션 사이의 누유여부 확인 |
미션 오일유량/상태 | 미션오일량 확인 |
미션 작동상태(공회전) | 공회전 시 미션상태 확인 |
발전기(알터네이터) 출력 | 공회전 시 발전기의 충전전압 확인 |
시동(스타트) 모터 | 엔진 시동 작동여부 확인 |
와이퍼 모터 기능 | 자동차 전면유리에 시야확보를 위한 와이퍼 장치를 구동시키는 모터 |
라디에이터 팬 모터 | 라디에이터 앞 부착되어 있어 일정온도 시 자동으로 작동 되는 모터 |
휀벨트 | 엔진회전력을 회전이 필요로 하는 다른 부품에 전달하는 고무벨트 |
에어필터(클리너) | 엔진의 실린더에 흡입되는 공기 속의 불순물을 여과시키는 부품 |
연료필터 | 연료속에 있는 불순물을 여과하는 부품 |
브레이크액 | 브레이크 오일량 확인 |
배터리 상태,충전전압 | 배터리 전압. 충전정압 확인 |
점화플러그 | 엔진 연소실에 장착되어 혼합기의 점화를 위해 전기방전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부품 |
휴즈박스 | 휴즈박스 상태 확인 |
점화 코일 | 점화플러그에 전기 스파크를 튀게 하기 위하여 고전압을 발생 시키는 일종의 변압기 |
에어컨 가스 | 차량 에어컨가스를 압축순환시켜 실내를 시원하게하는 냉각 장치 |
파워고압호스 | 고압의 오일을 펌프에서 컨트롤 밸브로 보내거나 컨트롤 밸브에서 파워 실린더로 보내는 호스 |
정밀검사 58건
항목 | 설명 |
---|---|
앞 범퍼,스키드플레이트 | 장애물과 부딪칠 시에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 |
라디에이터 그릴 | 라디에이터의 냉각에 필요한 공기를 받아들이는 통풍구 역할 |
후드 패널 | 차 앞부분에 있는 엔진부 위에서 열고 닫히는 패널 |
점검 장면 촬영 사진(앞면) | 점검장면촬영사진(앞면) 제공 |
앞 전조등,방향등,주간주행등(좌) | 야간에 전방을 비추고,도로상의 장해물 등을 확인하는 라이트 |
앞 휀더(좌) | 자동차의 바퀴 주변을 감싸는 외장 부품 |
앞 타이어(좌) | 차량의 바퀴에 장착되는 고무 |
A필러패널(좌) | 도어부와 천정을 연결하는 기둥으로 차에 강도를 더해주는 역할로 프런트 윈도와 사이드 윈도의 중간에 있는 위치 |
앞 도어(좌) | 승하차할 수 있는 차문 |
앞 도어 유리(좌) | 도어에 부착되어 있는 유리 |
사이드미러(좌) | 도어에 부착되어 후방을 볼수 있는 거울 |
B필러패널(좌) | 도어부와 천정을 연결하는 기둥으로 차에 강도를 더해주는 역할로 앞뒤 도어의 중간 위치 |
뒤 도어(좌) | 승하차할 수 있는 차문 |
뒤 도어유리,쿼터유리(좌) | 뒤 도어,2열 뒤 부착되어 있는 유리 |
사이드실패널(좌) | 측면 하단부의 프레임을 대신하는 패널 |
뒤 휀더=쿼터패널(좌) | 자동차의 바퀴 주변을 감싸는 외장 부품 |
뒤 타이어(좌) | 차량의 바퀴에 장착되는 고무 |
C필러패널(좌) | 도어부와 천정을 연결하는 기둥으로 차에 강도를 더해주는 역할로 리어도어와 리어윈도 중간에 위치 |
루프패널 | 자동차 윗부분에 씌우는 덥개 패널 |
연료주입구,캡 | 연료 탱크를 덮고 보호하는 부품 |
뒤 램프,방향등,후미등(좌) | 야간 운행시 후방 차량에게 자차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설치한 등화장치 |
가니쉬,외캐치(앞 도어_좌) | 도어의 미관 개선 외 외부물질(돌 등)로부터 차체면을 보호하는 패널/도어를 닫기 위한 손잡이 |
가니쉬,외캐치(뒤 도어_좌) | 도어의 미관 개선 외 외부물질(돌 등)로부터 차체면을 보호하는 패널/도어를 닫기 위한 손잡이 |
루프랙,몰딩 등 | 차량의 지붕에 짐을 싣거나 고정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세로로 설치된 2개의 봉 |
D필러패널(좌) | 도어부와 천정을 연결하는 기둥으로 차에 강도를 더해주는 역할 맨 뒤에 위치 (왜건,SUV) |
앞 휠(좌) | 타이어를 지탱하고 있는 부품 |
뒤 휠(좌) | 타이어를 지탱하고 있는 부품 |
전면 유리 | 자동차의 앞 창유리 |
글래스 선루프 | 차량의 천정에 설치한 유리문 |
사이드미러 램프(좌) | 주행의 방향 전환 및 비상 상태를 알리기 위한 등 |
사이드미러 램프(우) | 주행의 방향 전환 및 비상 상태를 알리기 위한 등 |
뒤 유리 | 뒤쪽 창문을 지칭한 것 |
트렁크,엠블럼,번호판,램프 | 자동차를 장식하기 위해 제조 회사명이나 차의 이름 등을 설치하는 부품 |
뒤 범퍼,스키드플레이트 | 장애물과 부딪칠 시에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 |
점검 장면 촬영 사진(뒷면) | 점검장면촬영사진(뒷면) 제공 |
뒤 램프,방향등,후미등(우) | 야간 운행시 후방 차량에게 자차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설치한 등화장치 |
C필러패널(우) | 도어부와 천정을 연결하는 기둥으로 차에 강도를 더해주는 역할로 리어도어와 리어윈도 중간에 위치 |
뒤 휀더=쿼터패널(우) | 뒤 타이어를 덮고 있는 부분 |
뒤 타이어(우) | 차량의 바퀴에 장착되는 고무 |
B필러패널(우) | 도어부와 천정을 연결하는 기둥으로 차에 강도를 더해주는 역할로 앞뒤 도어의 중간 위치 |
뒤 도어(우) | 승하차할 수 있는 차문 |
뒤 도어유리,쿼터유리(우) | 뒤 도어 및 2열 뒤 부착되어 있는 유리 |
사이드실패널(우) | 측면 하단부의 프레임을 대신하는 패널 |
앞 도어(우) | 승하차할 수 있는 차문 |
앞 도어 유리(우) | 도어에 부착되어 있는 유리 |
사이드미러(우) | 도어에 부착되어 후방을 볼수 있는 거울 |
앞 휀더(우) | 자동차의 바퀴 주변을 감싸는 외장 부품 |
앞 타이어(우) | 차량의 바퀴에 장착되는 고무 |
A필러패널(우) | 도어부와 천정을 연결하는 기둥으로 차에 강도를 더해주는 역할로 프런트 윈도와 사이드 윈도의 중간에 있는 위치 |
앞 전조등,방향등,주간주행등(우) | 자동차 전면에 부착되어 야간주행 시 앞을 환하게 비추기 위해 설치된 전등 |
가니쉬,외캐치(뒤 도어_우) | 도어의 미관 개선 외 외부물질(돌 등)로부터 차체면을 보호하는 패널/도어를 닫기 위한 손잡이 |
가니쉬,외캐치(앞 도어_우) | 도어의 미관 개선 외 외부물질(돌 등)로부터 차체면을 보호하는 패널/도어를 닫기 위한 손잡이 |
D필러패널(우) | 도어부와 천정을 연결하는 기둥으로 차에 강도를 더해주는 역할 맨 뒤에 위치 (왜건,SUV) |
뒤 휠(우) | 타이어를 지탱하고 있는 부품 |
앞 휠(우) | 타이어를 지탱하고 있는 부품 |
튜닝 | 차량의 성능,외관 또는 기타 부분을 개선하는 작업 |
특별이력(화재 또는 침수) | 특별이력(화재또는침수) 확인 |
후진 가이드 램프 | 후진 시 점선 패턴의 가이드 조명 구현을 통해 주변 차량 및 보행자에게 후진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사고를 예방 |
정밀검사 15건
항목 | 설명 |
---|---|
멀티 챔버 에어 서스펜션 | 주행 모드와 주행 상황에 맞춰 차체 높이를 제어하는 장치 |
제네시스 통합 컨트롤러 | 터치 및 필기 방식으로 인포테인먼트의 다양한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장치 |
선루프 무드램프 | 무드램프로 고급스러운 실내를 연출 |
페이스 커넥트 | 사전에 등록된 운전자의 얼굴을 인식하면 차량의 도어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장치 |
다중 충돌방지 자동제동 시스템 | 차량이 충돌하여 에어백이 작동하면 추가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시스템 |
엔진룸 프리필터 | 먼지나 꽃가루 등 실내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 |
제네시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 지문인식으로 시동을 걸 수 있는 기능과 라디오, 네비게이션, 카페이, Genesis Connected Service, 블루투스, 폰 프로젝션 등을 모두 포함하는 기능 |
ANC-R | 차량에서 발생하는 노면 소음을 억제하는 기술 |
뱅앤올룹슨 프리미어 3D 사운드 시스템 | 헤드레스트와 헤드라이닝, 전동 팝업 트위터 등을 포함한 총 23개의 스피커 장착 |
무드 큐레이터 | 음악, 향기, 조명과 커튼, 마사지 기능이 한 번에 연동되어 4가지 무드(바이탈리티, 딜라이트, 케어, 컴포트)를 제공하는 기능 |
고스트 도어 클로징 |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으면 자동으로 도어를 완전히 닫아주는 시스템 |
파워 도어 클로징 | 도어를 모터의 힘으로 자동으로 열고 닫아주는 시스템(Power Door System) |
발향 시스템(향기 카트리지) | 실내 쾌적함을 위해 향기를 제공하는 시스템 |
RWS(Rear Wheel Steering) |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전륜 조향과 동시에 후륜을 좌우로 제어하는 기술 |
외장 다크SUS 몰딩 | 차량외부에 장착되는 크롬몰딩 어두운색의 SUS 재질의 크롬몰딩 |
정밀검사 43건
항목 | 설명 |
---|---|
좌측 전조등 하향 | 야간에 전방을 비추고,도로상의 장해물 등을 확인하는 라이트 |
우측 전조등 하향 | 야간에 전방을 비추고,도로상의 장해물 등을 확인하는 라이트 |
좌측 전조등 상향 | 야간에 전방을 비추고,도로상의 장해물 등을 확인하는 라이트 |
우측 전조등 상향 | 야간에 전방을 비추고,도로상의 장해물 등을 확인하는 라이트 |
좌측 전방 방향지시등 | 주행의 방향 전환 및 비상 상태를 알리기 위한 등 |
우측 전방 방향지시등 | 주행의 방향 전환 및 비상 상태를 알리기 위한 등 |
좌측 후방 방향지시등 | 주행의 방향 전환 및 비상 상태를 알리기 위한 등 |
우측 후방 방향지시등 | 주행의 방향 전환 및 비상 상태를 알리기 위한 등 |
좌측 정지등 |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점등되는 적색 등 |
우측 정지등 |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점등되는 적색 등 |
좌측 주간주행등 전용 램프 | 운전자의 주간 가시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주행시 상시 점등 |
우측 주간주행등 전용 램프 | 운전자의 주간 가시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주행시 상시 점등 |
핸들 열선 출력 | 한냉시에 핸들을 따뜻하게 하기 위한 장치 |
뒷유리 열선 | 유리를 따뜻하게 함으로써 물방울이나 서리에 의한 흐림을 제거하는 장치 |
사이드 미러 열선 | 유리를 따뜻하게 함으로써 물방울이나 서리에 의한 흐림을 제거하는 장치 |
전방와이퍼 LOW, HIGH | 전면 눈, 비 또는 흙탕물 등을 닦아내는 장치 |
후방와이퍼 | 후면 눈, 비 또는 흙탕물 등을 닦아내는 장치 |
냉각팬 PWM 구동 | 라디에이터 앞 부착되어 있어 일정온도 시 자동으로 작동 되는 모터 |
Anti-Theft Horn | 클락션 점검 |
연료_펌프릴레이 | 연료펌프 전원을 공급하는 전자제어 장치 |
운전석 온도조절 액추에이터 | 온도를 승객이 원하는 대로 독립적으로 온도조절이 가능한 장치 |
조수석 온도조절 액추에이터 | 온도를 승객이 원하는 대로 독립적으로 온도조절이 가능한 장치 |
운전석 모드 선택 | 운전석 에어컨 제어 점검 |
조수석 모드 선택 | 조수석 에어컨 제어 점검 |
내외기 액추에이터 | 외부공기를 차단하는 장치 점검 |
보조 정지등 | 기존 브레이크등을 보조하는 등 |
후진등 | 후진 시 안전을 위해 점등 |
시트 열선_운전석 | 한냉시에 시트를 따뜻하게 하기 위한 장치 |
시트 열선_조수석 | 한냉시에 시트를 따뜻하게 하기 위한 장치 |
시트 열선_2열 좌측 | 한냉시에 시트를 따뜻하게 하기 위한 장치 |
시트 열선_2열 우측 | 한냉시에 시트를 따뜻하게 하기 위한 장치 |
보조배터리 충전상태 | 보조배터리 충전상태 측정 |
보조배터리 전압 | 보조배터리 전압 점검 |
자동 습기 제거 센서 | 앞 유리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차량 유리의 김서림 정도를 감지 |
실내온도 센서 | 실내온도 센서는 차실 내의 공기를 흡입한 후 온도를 감지 |
외기 온도 센서 | 외기온도 센서는 차실 외부의 온도를 감지 |
운전석 에어백 회로 저항_에어백 1단계 | 운전석 에어백 이상여부 확인 점검 |
운전석 에어백 회로 저항_사이드 에어백 | 운전석 사이드 에어백 이상여부 확인 점검 |
조수석 에어백 회로 저항_에어백 1단계 | 조수석 에어백 이상여부 확인 점검 |
조수석 에어백 회로 저항_사이드 에어백 | 조수석 사이드 에어백 이상여부 확인 점검 |
운전석 조임기 회로 저항_시트 벨트 | 운전석 시트벨트 이상여부 확인 점검 |
조수석 조임기 회로 저항_시트 벨트 | 조수석 시트벨트 이상여부 확인 점검 |
TPMS 센서 | 타이어 내부 공기압을 감지 점검 |
정밀검사 7건
항목 | 설명 |
---|---|
페달_가속/브레이크/클러치 | 운전자가 가속,브레이크,클러치 작동을 위해 발로 조작하는 장치 |
스톨테스트(정지) | 자동변속기를 설치한 자동차의 브레이크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D/R단 중 가속페달을 밟아 엔진의 최고 회전속도를 측정 |
엔진/변속기 소음,충격 | 엔진,변속기 소음 및 충격 측정 |
주행소음,풍절음,잡소리 | 실내 소음 측정 |
주행직진성(얼라이먼트) | 자동차 바퀴의 위치, 방향 등의 정렬 상태 측정 |
좌/우 회전시 소음 | 정차/운행 중 차량 회전시 소음 측정 |
핸들링(스티어링) 안전성 | 핸들링 안정성 측정 |
제네시스 인증중고차는 287여개의 자체 정밀진단 점검항목을 기준으로 철저하게 점검하여 믿을 수 있는 중고차입니다.
환불약관
제1조(목적)
본 약관은 현대자동차주식회사(이하 “회사”라 함)으로부터 현대/제네시스 인증중고차를 구매한 자(이하 “고객”이라 함)에게 앱 또는 웹 (https://certified.hyundai.com)에서 구매한 차량에 대하여 환불과 관련한 세부사항을 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제2조(환불대상)
본 약관은 “회사”가 운영하는 현대/제네시스 인증중고차 (이하 “회사”라 함)에서 운영하는 앱 또는 웹 (https://certified.hyundai.com)에서 구매한 차량 만을 적용대상으로 합니다.
제3조(환불기간)
환불 기간은 “고객”이 차량을 인수한 날을 포함한 7일째가 되는 날 (주말 및 공휴일 포함)이며, “고객”의 차량 사용 기간에 따라 환불 시 청구되는 항목과 비용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
제4조(환불절차 및 규정)
① “고객”이 환불을 하고자 하는 경우 (반드시) 제3조 환불기간 내에, “회사”의 앱 또는 웹에서 “환불신청” 또는 현대/제네시스 인증중고차 컨택센터(1522-0880) 통해 환불신청 접수를 완료해야 합니다.
② “고객”은 차량을 인수한 시점과 동일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환불신청 이후에는 차량 이용을 중지하고 차량을 인수한 장소 또는 “회사”가 지정한 장소에 차량을 반환하여야 합니다.
③ “고객”이 환불 신청한 차량은 “회사”에서 배정한 탁송기사를 통해서만 반환 가능하며, “고객”의 직접 반환은 불가합니다.
④ “회사”는 “고객”이 반환한 차량에 대하여 “회사”가 “고객”에게 차량을 인도할 때 탁송기사가 차량의 상태를 사진 촬영하고 “고객”이 차량 인수를 확인한 기준으로 차량 상태를 확인하여 회수합니다.
⑤ “회사”는 회수한 차량을 검수하고 본 약관에 따른 환불 불가 또는 제한 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고객"의 환불 신청에 대하여 처리를 수락하여 환불을 확정합니다.
⑥ “회사”가 “고객”의 환불요청을 수락하기로 결정한 경우, “고객”이 차량 사용으로 얻은 이익(별첨 1에 따름)을 환불 확정일로부터 3 영업일 내 결제하면, “회사”는 위 결제일로부터 3 영업일 이내에 “고객"이 지정한 계좌로 환불금을 입금합니다. 신용카드 결제 방식으로 차량 대금을 지급한 “고객”에게는 위 결제일 당일 이내에 결제수단을 제공한 사업자에게 대금 청구를 정지하거나 취소를 요청합니다.
⑦ 차량을 인수한 시점부터 “고객”이 환불 신청을 위하여 “회사”에 차량을 반환하는 시기까지 발생되는 모든 과태료, 하이패스 미납요금, 법적, 행정적 사유에 따른 모든 비용은 “고객”이 납부하여야 하며, 납부하지 않을 경우 “고객"의 재산 압류 등 법적인 조치가 이뤄질 수 있습니다.
⑧ 만약 “고객”이 차량 이용에 대한 비용 납부를 하지 않거나 지체할 경우 “회사"는 환불을 유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모든) 책임은 “고객”이 부담합니다.
⑨ “고객”은 제3조에 따른 환불기간 내에 차량 관련하여 “고객”이 가입한 금융상품(대출, 할부 등) 계약의 해지절차를 직접 진행해야 하며, 환불기간 내 대출계약을 해지하지 않은 경우 환불이 불가합니다.
⑩ 차량을 구매하기 위해 가입한 자동차 보험계약 등의 해지 절차는 “고객”이 직접 해지하여야 합니다.
제5조(환불 불가 사유)
① 다음 각 호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환불신청은 불가합니다.
1. “고객”이 차량 인수 후 사고, 침수, 화재 발생 등으로 차량이 파손된 경우
2. “고객”이 대상차량을 범죄 등 불법적 행위에 이용한 경우
3. “고객”이 대상차량 부품을 고의 또는 과실로 파손하거나, 임의교체가 있었음이 확인된 경우
4. 액세서리의 분실 등 차량 상태가 인수시점과 상이한 경우
5. “고객”의 당해 년도 환불 횟수가 2회를 초과한 경우
6. 기타 “고객”이 “회사”의 환불제도를 악용하는 경우
② “고객”이 위 제1항 각호의 사유에 해당사항이 없다고 하여 환불신청을 하여 “회사"가 차량을 회수하였으나, 위 제1항 각호의 사유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회사”는 해당 차량을 환불 불가로 판정합니다. 환불 불가 판정 시, 자동적으로 구매가 확정되며 “회사”는 “고객”에게 그 판정 내역과 사유를 안내합니다. 또한 “회사"는 대상 차량을 고객에게 재탁송하며, 이 때 발송하는 탁송비는 “고객"이 부담해야 합니다.
③ 위 2항에도 불구하고 차량 실내 또는 외관의 단순 파손만이 확인되는 경우, “회사”는 “고객"이 수리 실비 기타 감가비를 지불하는 조건으로 환불을 수락할 수 있습니다. 수리 실비는 “회사"의 인증중고차 상품화센터에서 산출된 수리비가 적용되며, 감가비는 회사의 산정 기준에 따릅니다.
④ 위 2항에도 불구하고 액세서리의 분실만이 확인되는 경우, “회사”는 “고객”이 수리 실비를 지불하는 조건으로 환불을 수락할 수 있습니다. 수리 실비는 “회사”의 인증중고차 상품화센터에서 산출된 분실품목의 가격이 적용됩니다.
제6조(환불 불가 비용)
차량에 대한 환불이 확정되더라도, “회사”는 아래 각 호의 비용을 “고객”에게 환불하지 않습니다.
1. 차량 인도 시 탁송비(단, 회사의 귀책 있는 사유로 환불하는 경우는 제외)
2. 차량 인수 후 “고객”이 임의로 추가 장착한 물품, 차량에 투입된 비용(블랙박스 장착비용, 썬팅비용, 타이어 교체비용, 각종 오일 교체비용, 광택 및 세차비용, 주유비, 통행료 등 차량에 투입된 비용 등. 단, 탈거가 가능한 경우 탈거 후 반환 가능)
3. 지방세법 등 관련 법령에 따라 기 납부한 세금 및 이전등록에 소요된 비용(대행 수수료 포함)
4. “고객”이 차량 구입을 위해 가입한 금융상품(대출, 할부 등) 계약의 해지로 인한 취소 수수료
5. 자동차보험료
제7조(포인트의 반환)
① “회사”가 차량 구매 시 “고객”에게 제공한 블루멤버스 포인트(이하 “포인트”라 함)는 환불 확정 시 전부 회수됩니다.
② “고객”이 차량 구입 후 환불 확정 전 제휴처에서 포인트를 사용하여 “고객”이 보유한 포인트가 회수되어야 할 포인트에 미달하는 경우, “고객”은 제휴처에 포인트 사용분에 상응하는 금액을 현금으로 지급하고 포인트 사용을 취소해야 합니다.
제8조(이용 제한)
“고객”이 “회사”의 환불제도를 악용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현대/제네시스 인증중고차의 구매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별첨 1] “고객”의 차량 사용으로 얻은 이익 기준표
1. 차량 인수 기간별 부과되는 항목
구분 | 탁송비용 (왕복) | 재상품화 비용 | 차량 사용료 | 주행거리 초과 | |
---|---|---|---|---|---|
인수일로부터 | 1일~3일 | O | X | X | X |
4일~7일 | O | O | O | 해당 시 |
(1) 탁송비용 : 탁송료는 차량의 운송구간 및 방법에 따라 청구됩니다. 대상차량 인도시/반환시의 왕복 탁송료가 청구되며, 차량 반환은 해당 차량이 출고되었던 인증중고차 센터로 반환을 원칙으로 합니다.
(2) 재상품화 비용 : 환불 시 해당 차량의 재상품화를 위해서 필수로 발생되는 성능점검, 성능점검 책임보험료, 세차(광택), 촬영 등의 지급되는 비용으로 15만원(대당)이 청구됩니다.
(3) 차량 인수 후 4~7일 재상품화 비용을 포함한 차량 사용료
[단위 : 원]
구분 | 인수일 기간별 부과 비용 (재상품화 비용 포함) | 주행 초과 일/100km당 | ||||
---|---|---|---|---|---|---|
1~3일차 | 4일차 | 5일차 | 6일차 | 7일차 | ||
경·소형 | - | 210,000 | 250,000 | 290,000 | 330,000 | 15,000 |
준중형·중형 | - | 250,000 | 300,000 | 350,000 | 400,000 | 20,000 |
준대형 | - | 350,000 | 425,000 | 500,000 | 575,000 | 25,000 |
대형 | - | 450,000 | 550,000 | 650,000 | 750,000 | 35,000 |
SUV, 승합 | - | 330,000 | 400,000 | 470,000 | 540,000 | 25,000 |
5천만원이상 | - | 850,000 | 1,050,000 | 1,250,000 | 1.450,000 | 50,000 |
*주행거리가 일/100km를 초과할 경우 사용료 부과
2. 회사의 책임 있는 사유로 환불하는 경우는 위 1항의 비용이 청구되지 않습니다. 단, 아래 각 호의 사유는 고객의 단순 변심으로 간주하며, “고객”의 환불 요청에 대해서 “회사”와 “고객”이 별도로 합의한 방식으로 처리하기로 합니다.
① 차량의 품질 및 일반적 주행, 기능상 영향이 없는 감성적 요인(이음, 잡음, 진동, 냄새, 내외관의 이색, 외관, 시트의 주름 · 오염 · 벗겨짐 등)
② “회사”가 차량 구매 시 제공하는 “점검 리포트”상에 기본정보 및 점검항목/품질개선 미진행 항목, 별도 고지한 품질개선 진행하지 않은 항목에 대한 불만
부칙
가. 본 약관은 2024년 5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